졸업논문
- 원불교 청소년 감사 법회 프로그램 – 최정원 원불교 청소년 감사 법회 프로그램 최정원 Ⅰ. 서론 Ⅱ. 원불교의 감사 1. 감사의 개념 2. 감사의 중요성 3. 감사의 효과 Ⅲ. 청소년과 청소년 법...
- 원불교 좌선법에서 호흡이 갖는 의미 고찰 – 이형진 원불교 좌선법에서 호흡이 갖는 의미 고찰 20140113 이형진 Ⅰ. 서론 본 연구는 원불교 수행에서 호흡이 좌선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고찰해 봄으로써 호흡에 대한 이해의 부족에서 오는 수행상의 문제...
- 소태산 대종사의 견성관 연구 – 이원일 –소태산 대종사의 견성관 연구– 이원일 Ⅰ. 서론 Ⅱ. 소태산 대종사의 견성관 1.견성의 정의 2.견성의 상태 Ⅲ. 견성과 수행의 관계 1.견성과 수행 2...
- 세계보편윤리와 정산 종사의 삼동윤리 실천론 – 이광성 세계보편윤리와 정산 종사의 삼동윤리 실천론 이광성 Ⅰ. 서 론 세계는 교통, 통신의 발달로 인하여 상대적 거리감이 축소되었고, 국경을 ...
- 원불교 저축조합 정신의 지역경제적 활용 – 손인관 원불교 저축조합 정신의 지역경제적 활용 손인관(孫仁貫) Ⅰ. 서론 Ⅱ. 저축조합 운동과 방언공사 1. 협동조합을 통한 경제적 토대 마련 2. 저축조합 운동과 방...
- 원불교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포토에세이 작품집 제작 – 박종화 Ⅰ. 들어가면서 문화란 인간의 힘이 가해지지 않은 자연 상태를 변화시키거나 새로운 방식으로 재탄생시키는 것을 의미한다. 문화는 오랜 시간 전부터 인간의 삶에 자연스럽게 스며들어왔고, 현대의 삶...
- 일원상 진리에 대한 고찰 – 박원진 일원상 진리에 대한 고찰 – 원효 일심사상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– 박원진 Ⅰ. 서론 Ⅱ. 일원상 진리 1. 일원상 진리의 논리적 구조 2. 법신...
- 정의와 불의 구분을 위한 원불교 판단 기준에 대한 고찰 – 명동진 정의와 불의 구분을 위한 원불교 판단 기준에 대한 고찰 – 일원상의 진리를 중심으로 – 명동진(도훈) Ⅰ. 서론 Ⅱ. 정의와 불의의 외재주의적 판단...
- 윤회, 무아 그리고 고(苦) – 김호성 윤회, 무아 그리고 고(苦) – 우리는 어떻게 고통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가 – 김호성 Ⅰ. 서론 Ⅱ. 고통의 세계 Ⅲ. 고통의 원인 1. ...
- 원불교 무시선 수행의 방법에 대한 연구 – 김진후 원불교 무시선 수행의 방법에 대한 연구 – 집심, 관심, 무심, 능심의 의미와 경계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– 김진후 ...